수상집 5집 '토착화와 현대화'

한국 양악 100년사 (2)

나  운  영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양악은 엑케르트, 백우용, 정사인에 의해 그 기초가 다져졌다. 한편 백우용, 이상준 등에 의해 창가가 작곡되었고, 특히 이상준에 의해 민속악 채보작업이 시작됐다.
   ③ 정사인 (鄭士仁 · 1881~1958)
   정사인은 1881년 12월 7일생 (서울 동대문밖)으로서 1900년 곡호대(曲號隊)를 거쳐 1901년 구한국군악대에 들어가 플루트와 피콜로의 연주자로 활약했다. 1912년에 군악대를 사임하고 조선기독교청년회 (YMCA) 중학부의 음악교사로 취임했으며, 1915년 개성송도고보 교사로 취임, 25년간 후진을 양성했는데 이때의 송도고보 브라스 밴드는 연희전문학교 주최 전국학생음악경연대회에서 항상 1등상을 차지했다. 1940년 경성방송관현악단(지휘·홍난파)의 플루트 연주자로 활약했으며, 김형준(金쑤俊)의 권유에 의해 경기공고에서 브라스밴드 지도를 했으나 6 ·25로 말미암아 대구로 피난, 수복 이후 1958년 7월 26일 별세했다.
   그는 플루트의 연주자로서 명성을 떨쳤을 뿐만 아니라 가곡 「아 내고향」(내 고향을 이별하고 타관에 와서‥‥)의 작곡가로 널리 알려졌는데 이 곡은 세계 걸작가곡 「백장미 제 1집」 (이철 편집, 1927년 백장미사 발행) 에서는 작사자와 작곡자의 이름이 밝혀져 있지 않다. 한편 「아동가요곡선-3백곡집」 (강신명 편집, 1936년 1월 평양에서 발행)의 125면에는 망향가(박태원 작사, 작곡)로 소개되어 있어 다소 의아한 느낌이 들기도 하나 장사인이 죽을 때에 연주해 달라고 「아! 내고향」을 브라스밴드로 편곡하여 마지막 작품으로 남겼다고 하니 그의 작곡임에 틀림없을 것으로 믿어진다.
   또한 오늘날 신민요로 애창되고 있는 「태평가」가 고마부(高馬夫)작사.정사인 작곡으로 이상만(李相萬)에 의해 밝혀졌으며, 이보다도 작곡가로서 높이 평가 받는 것은 「행진곡 추풍 」「행진곡 돌진」 등이다.
   여기에 소개하는 「행진곡 추풍」 의 제1 클라리넷 악보를 분석해보면 마치 스자(Sousa)의 작품에 비해 별로 손색이 없을 듯한 명작이라고 말해도 좋을 것이다.
   더욱이 이 곡이 송도고보 재직시대의 작품이라고 추정한다면 1920~ 30년대에 작곡된 한국 최초의 본격적인 기악곡인 동시에 그는 한국 최초의 브라스밴드곡의 작곡가로 추앙하고 싶어진다.

   ④ 이상준(李尙俊· 1884~ 1948)
   이상준은 1884년 7월 21일생 (황해도 재녕)으로서 1894년 서울에서 피어선성경학원을 졸업, 1897년 새문안교회의 찬양대를 지휘했고, 1898년 평양의 대성학교의 음악교사로 취임했으며, 1900년 다시 서울에 와서 보성고보, 휘문고보, 숙명여고, 진명여고의 음악교사로 활동했다.
   1913년에 조선정악권습소의 조선악,가남창과(歌男唱科) 를 졸업했으며, 1948년 7월 25일 별세할 때까지 작곡,저술 등을 통해서 실로 맹활약을 했다.
   여기서 그의 저서를 소개한다면 첫째로 「조선속곡집 상권」(1914년 10월5일, 조선복음인쇄소 발행 75면) 이다. 이 책은 우리나라 최초의 국악의 채보집(五線譜)이므로 참고로 목차를 소개한다.
   1) 우조초수(羽調初數) 한 엽(葉)   2) 편(編)    3) 시조(詩調)    4) 노군악(路軍樂)    5) 방아타령    6) 육자박이   7)흥타령    8) 자즌난봉가    9) 성주풀이   10) 정거장    11) 개타령    12) 아르렁타령    13) 몽금포타령    14) 학생타령    15)경성흥타령    16) 산염불    17) 신신산보가   18) 신식운동가    19)이팔청춘가    20)남무아미타불가    21) 수심가    22) 양산도    23) 무당타령    24) 도라지타령   25) 꼭두타령    26) 숙천난봉가    27)밤엿타령    28) 긴난봉가    29) 세월타령   30) 청개골이타령    31) 오호(五湖)타령   32) 넋들이    33) 영변가    34) 농부가    35)영산회상중 타령곡    36) 단가 1    37) 단가 2

  <주>민속악이 아닌 정악(正樂)을 채보 · 출판한 책인 조선구악 영산회상(朝鮮舊樂 靈山會像)은 1914 년 8월 15일 창문당서점 발행(15면)으로 먼저 나왔음.)
   둘째로 「보통 악전개요」(1916년 2월29일, 박문서관 발행 77면)가 있다. 이 책은 역시 우리나라 최초의 음악 이론서이므로 목차를 소개한다.
  제1장 보표
     제1절 보표의 성립과 기위치        제2절  대보표
  제2장 음부 기호
     제1절 고저 양음부기호       제2절 음명
  제3장 음부
     제1절 단순 음부    제2절 부점음부    제3절 복부점 음부
  제4장 휴지부  
     제1절 단순 휴지부   제2절 부점휴지부
  제5장 종선
     제1절 삼개 종선의 명급모양
  제6장 반복기호
     제1절 사개 반복기호
  제7장 박자
     제1절 병등박자    제2절 불평등박자
  제8장 변박자
     제1절 속도기호    제2절 절분음과 결합음
  제9장 고저와 장단연습
     제1절 장단연습    제2절 고저연습
  제10장 변화기호와 단위기호
     제1절 영 주조음   제2절 변 주조음
  제12장 발상기호
     제1절 강약기호    제2절 완급기호
  제13장 음
     제1절 음류    제2절 음역     제3절 인성의 음역
  제14장 음계론
     제1절 아악 (雅樂)음계
  제15장 음정의 각론
     제1절 음정의류
  제16장 음정의 전회
  제17장 협화음정과 불협화음정
  제18장 화성론
     제1절 화현(和絃)
  제19장 음계각도의 명층과 기관계
     제1절 각 음도의 명층    제2절 각음도의 관계
  부록
     제1장 선율의 장식   제2장 기보생략법   제3장 곡조연습

  셋째로 「최신 창가집」(1918년 5월20일, 박문서관 발행, 88면)인데 이것도 우리나라 최초의 창가집이 아닐까 생각되므로 목차를 소개한다.
   제1편   1) 君가代    2)一月一日    3)紀元節    4) 天長節    5) 卒業式
   제2편   1) 職業    2) 春風 (이상은 일본가사 곡임)    3) 蝶    4) 蟻    5)時計    6) 雨    7) 孝順    8) 師의 恩    9)갈지라도    10) 春來    11) 夏    12) 압흐로    13) 夏期休業    14) 父母의 恩    15)海    16) 學徒    17) 修學旅行    18) 應其一    19) 應 其二    20) 新年    21)山川求景    22) 冬    23) 秋    24) 隱士   25) 運動歌    26) 惜別    27)靑山    28)勤學 其一    29) 勤學 其二   30) 星    31) 工夫    32) 山水    33)鷺    34) 野球歌    35) 望鄕    36) 장미화    37) 관동팔경

   (주)3·4 ·5 ·6·8 ·10 ·11 ·13·15· 19·20 ·22 ·24 ·25 ·26 ·27 ·30 ·31은 이상준 작사 작곡(18곡) 7 · 17 ·23 ·32는 다른 사람 작사의 이상준 작곡(4곡)이며 12· 16· 18· 21 ·33 ·34 ·35 ·36 은 이상준 작사이다. (8 곡)
   넷째로 「나팔가곡집」(1929년 9월8일, 삼성사 발행, 46면)인데 이것도 우리나라 최초의 군대 나팔곡집이다.
   (주) 곡의 내용은 行步 · 分列式 ·驅步 · 急聚軍 · 聚軍 · 隊號 · 門札式 · 登山 · 掃地 · 襲步 · 究擊 · 山立 · 休? · 消燈 · 起床 · 行喪號追悼曲 · 分食 · 取食 · 喇叭手 · 散會로 되어 있다.
   이밖에도 「풍금독습 · 중등창가집」「최신 중등창가집」 「신유행가곡집 102」「笑哀樂唱歌集」 「조선신구잡가」 「신선속곡집」등이 있다.


<1986. 2월호 사보
삼익악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