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나운영이 기독교방송에서 12회에 걸쳐 국악감상해설을 한 원고입니다.
아쉽게도 12번째 원고는 찾을 수가 없었고, 1955년도에 라디오 생방송을 위해 작성한 글이라 현재에 맞게 일부 수정했음을 밝혀둡니다. 아울러 이 국악감상 해설에 사용된 음원은 찾을 수가 없었고, 더 더욱이 실제 스튜디오에서 직접 생방송으로 연주한 음원은 확인할 수 없어 다른 음원으로 대체하였습니다.
오늘은 국악감상 일곱 번째 시간입니다.
그동안 장고 장단을 중심으로 한 감상법으로 세마치, 굿거리, 도드리, 타령 장단을 설명해 드렸습니다.
오늘부터는 판소리나 산조 시나위 등에 나오는 남도 장단에 대해서 말씀해 드리겠습니다.
이 남도 장단에는
1. 진양조
2. 중모리
3. 중중모리
4. 언모리
5. 엇중모리
6. 자진모리
7. 휘모리
8. 세산조시 등
여덟가지 장단이 있습니다.
(그러면 먼저 국립국악원에 계신 김윤덕 씨께서 직접 장단을 쳐 주시겠습니다.)
그러면 먼저 진양조 장단입니다. 이 장단은 6박으로 되어 있습니다.
「진양조 장단」
그러면 (국립국악원에 계시는 김윤덕 씨의 가야금과 김태섭 씨의 장고로) 6박으로 된 가야금 산조 중에서 진양조 중의 일부분을 들어보시겠습니다. (김죽파류 가야금 중에서 첫번째 장단)
가야금 산조 중 「진양조」 중의 일부분
이번에는 중모리 장단입니다. 이것은 12박입니다.
「중모리 장단」
그러면 12박으로 된 가야금 산조 두번째 장단인 중모리 중의 일부분을 들어보십시오.
가야금 산조 중 「중모리」 중의 일부분
  이번에는 중중모리 장단입니다. 이것도 12박입니다.
「중중모리 장단」
그럼 12박으로 된 가야금 산조 중 세번째 장단인 중중모리를 들어보십시오.
가야금 산조중 「중중모리」
다음에는 엇모리 장단입니다. 이것은 10박입니다.
「엇모리 장단」
이번에는 엇중모리 장단입니다. 이것은 6박입니다.
「엇중모리 장단」
다음 목요일 이 시간에는 가야금 산조 중 자진모리, 휘모리, 세산조시를 감상하시겠습니다.